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새만금일보 | 기사입력 2017/01/13 [00:35]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새만금일보 | 입력 : 2017/01/13 [00:35]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1919년 3·1운동이 직접적으로 낳은 결실로 평가된다. 1919년 4월 13일 중국 상하이에 수립·선포된 이후 1945년 해방에 이르기까지 임시정부는 민족의 대표 기구이자 독립운동의 최고 중추 기구로 자리매김했다.
1919년 3~4월, 국내외에서는 5개의 임시정부가 생겨났다. 기반을 제대로 갖춘 것은 노령(露領, 러시아령) 연해주의 대한국민의회(大韓國民議會), 중국 상해의 대한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 臨時政府), 서울의 한성정부(漢城政府) 세 곳이었다.
가장 먼저 정부 수립이 추진된 곳은 연해주의 블라디보스토크였다. 1917년 말 성립된 전로한족회중앙총회(全露韓族會中央總會)는 3·1운동 발발 직후인 3월 17일 중앙총회를 행정, 사법, 의회 기능을 갖춘 대한민국의회(大韓民國議會)로 확대, 개편했다.
상해에서는 4월 10일, 이동녕(李東寧)을 의장으로 임시의정원이 구성되고, 11일에 열린 의정원 1차 회의에서 헌법에 해당하는 전문 10조의 임시헌장을 채택했다. 서울의 한성정부는 13도 대표 24명이 인천 만국공원에서 비밀 회동을 통해 임시정부 수립을 결의하고 임시정부 선포문을 내면서 성립됐다. 임시정부의 통합 논의는 원세훈(元世勳)과 상해의 안창호(安昌浩)가 주도했다. 결국 상해 쪽이 제시한 단일 정부 수립원칙이 받아들여져 1919년 9월 단일화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탄생하였다.
임시정부는 상해 시기(1919~1932), 이동 시기(1932~1940), 중경 시기(1940~1945)를 거친다. 다섯 차례의 개헌을 통해 대통령제(1919.9), 국무령(國務領) 중심의 내각책임제(1925.4), 국무위원 중심의 집단지도 체제(1927.3), 주석제(1940.10), 주석-부주석제(1944. 4)로 정치 체제를 바꿔나갔다.
1932년 4월 윤봉길(尹奉吉) 의거에 따른 일제의 탄압으로 상해를 떠나 항주(1932), 남경(1937), 장사(1937), 광주(1938), 유주(1938), 기강(1939) 등을 거쳐 중경(1940)으로 정부 청사를 옮겼다. 초기 활동은 연통제(聯通制)를 통한 국내 행정 장악과 국제 외교에 초점이 맞춰졌다.
내무부 산하에 연통부를 조직해 국내에서의 독립운동 자금 모집과 임정 및 해외 독립운동 정보의 국내 전달, 국내 항일 운동 지휘 등의 임무를 맡게 했다. 이를 위해 서울에는 총판(總辦), 각 도에는 독판(督辦), 군에는 군감(郡監), 면에는 면감(面監)이 운영됐다.
비밀 행정 조직으로서, 임시정부와 국내의 연락망 역할을 한 것이다. 연통제는 평안, 황해, 함경도 지역과 경기, 충청도 일부, 서간도, 북간도 등지에서 실시됐으나, 1921년에 일본 경찰에게 발각되어 붕괴되고 말았다.
노선 갈등도 벌어졌다. 모스크바에서 레닌이 지원한 자금을 이동휘 계열이 독점하고, 주로 미국에 머물고 있던 이승만이 미국 대통령에게 국제연맹에 의한 한국의 위임통치를 청원한 사실이 불거지면서 촉발됐다. 외교보다는 독립전쟁을 통한 국권 회복을 중시한 사회주의 계열 인사들은 임시정부의 활동을 비판했다.
이승만의 사임을 요구했고, 이로 인해 임시정부는 수립 이후 최대의 위기를 맞는다. 임시정부를 완전히 해체한 뒤 새로운 정부를 수립하자는 창조파와 임시정부의 조직만 개혁하자는 개조파가 팽팽히 맞섰다. 창조파는 북경군사통일회의 신채호(申采浩), 이르쿠츠크 고려공산당 김만겸(金萬謙), 대한국민의회파 윤해(尹海), 원세훈, 천도교의 통일당 신숙(申肅) 등이다. 이들은 무력 항쟁과 조선공화국 수립을 주장했다.
개조파는 안창호, 상해파 내 고려공산당 김철수(金綴洙), 윤자영(尹滋瑛), 서간도의 개조파 김동삼(金東三) 등이다. 이들은 실력 양성에 주안을 두면서 자치운동과 외교활동을 강조했다. 국민대표회의가 성과 없이 끝나자 개조파와 창조파에 속한 대다수 독립운동가들이 임시정부에서 탈퇴해 상해를 떠났다.
임시정부가 다시 국내외의 지지를 되찾기 시작한 것은 한인애국단의 의열 투쟁을 통해서였다. 한인애국단은 1931년 9월 일제의 만주 침공을 계기로 김구가 요인 암살을 위해 결성한 것이다. 1932년 의거를 일으킨 이봉창(李奉昌)과 윤봉길(尹奉吉) 모두 애국단 소속이었다.
일제는 의거 후 임시정부 요인에 대한 체포 작전에 돌입했다. 이를 피해 임시정부는 1932년부터 1940년 중경에 정착할 때까지 중국 대륙 각지를 이동하면서 활동하였다. 이동 시기의 임시정부 주변에서는 좌우파에서 정당들이 속속 생겨났다. 그 과정에서 다시 임시정부를 해체하자는 논의가 일었다.
김구는 1935년 11월 한국국민당을 조직해 이를 기반으로 임시정부를 재정비하고, 나아가 조소앙(趙素昻)의 재건한국독립당, 이청천(李靑天)의 조선혁명당을 끌어들여 우파 연립내각을 구성했다. 임시정부는 1940년 9월 중경에 도착한 직후 이청천을 총사령관으로 하는 광복군을 창설한 데 이어 강력한 단일지도 체제인 주석제를 도입했다.
행정과 군사를 총괄하는 주석으로 피선된 김구는 1942년 8월 김원봉(金元鳳)의 좌파 세력을 임시정부에 끌어들여 좌우 대통합을 이루고 민족통일전선을 통일시키는 성과를 거뒀다. 김원봉이 이끄는 400여 명의 조선의용대를 광복군에 편입시킴으로써 군사면에서도 좌우 통합이 이뤄졌다.
현 대한민국 헌법 전문은 3·1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한편 최근 국정 역사교과서가 기술하고 있는‘1948년 대한민국 수립’이라는 규정이 1919년 임시정부 설립을 부정할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나와 주목된다.
(정복규 기자)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분단을 넘어 통일로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