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혜원 개인전 '에코토피아를 향한 명상Ⅱ'

새만금일보 | 기사입력 2017/11/08 [09:02]

김혜원 개인전 '에코토피아를 향한 명상Ⅱ'

새만금일보 | 입력 : 2017/11/08 [09:02]


전북도립미술관 서울관이 8일부터 13일까지‘김혜원 개인전’이 열린다.
이번 '에코토피아를 향한 명상Ⅱ'展은 작가가 사진을 전공한 지 20년이 되는 해를 맞아 기존 작업의 대표작과 미발표작을 되돌아보고 새로운 작업의 일부를 선보이는 사진적 연대기 형식의 개인전이다.
그간 20년의 작업은 인간의 손에 의해 훼손되는 자연 환경과 문명에 의해 변화되는 지형을 소재로‘녹색(Green)’으로 상징되는 에코토피아의 세계를 지향하는 풍경 사진들을 대상으로 해 왔다.
즉 에콜로지(ecology)를 작업 논리로 해 산업자본주의 소비문화 시대의 파괴되고 변형되고 소비되고 있는 지형과 환경에 대한 작업을 일관되게 보여주는 데 초점을 맞춰 왔다.
<용담댐 시리즈-풍경>(2001)은‘용담댐’건설 공사와 수몰 도로의 이설 공사로 광범위하게 국토가 파괴되고 자연이 침탈되고 있는 전북 진안군‘용담’마을의 변화되는 지형을 소재로 삼았다.
모래나 자갈이 쌓인 건설 현장 속에서 회색빛 흙먼지에 뒤덮인 채 파괴돼 가는 풀, 나무, 산, 물 등 자연 풍경의 리얼리티를 하이키톤이나 중간톤으로 표현해 아름다운 풍경의 깎이고 파헤쳐진 참혹함을 정적(靜寂)의 미와 정밀(靜謐)의 미라는 반어적 어법으로 역설(逆說)화하고자 했다.
<Commercial Landscapes>(2006)는 자연 속 유료화된 레저 스포츠 인공 시설물들을 통해 자연이 고가의 상품이 돼 소비를 부추기고 있는 상업화된 풍경과 지형을 기록했다.
골프장, 낚시터, 수영장, 눈썰매장, 사격장, 객석 등 자연 속의 유료화된 여가 문화 공간의 텅 빈 풍경, 그 정적감과 황량함을 통해 산업 자본주의 소비 시대의 물질 문명을 향한 인간의 욕망과 인간 소외라는 거대한 모순, 그 숨은 진실을 성찰하고자 했다.
<34개의 야외 주차장>(2009)은‘땅’이라는‘자연’풍경을 아스팔트와 시멘트와 철판, 직선과 화살표라는 기호의‘인공’경관으로 변화시켜 놓은 자연 속 야외 주차장을 통해 환경 파괴와 소비문화라는 사회문화적 현실을 보여줬다.
문명과 속도와 부를 상징하는 자동차가 인간의 물질문명에 대한 욕망과 우리 삶의 변화 특히 소비문화로의 변화를 잘 보여주듯, 아름다운 자연 속에서 보낼 성수기의 한 철 여가를 위해 아름다운 자연을 파괴하고 들어선 야외 주차장 역시 인간의 욕망과 소비문화로의 변화를 잘 보여주기 때문에 야외 주차장의 텅 빈 풍경을 통해 자본주의 시대의 우리‘땅’의 현실을 들여다보고자 했다.
신작인 <금수강산 프로젝트-인공 폭포>(2017)는 높은 데서 낮은 데로 낙하하는 물의 본성을 거스르고 도심의 공원뿐 아니라 심산유곡에까지 조성된 인공 폭포를 통해 오늘날 모조 자연으로 존재하게 된 금수강산의 의미와 자연과 문명의 전도된 가치를 확인하고자 한다.
그동안 인공의 힘으로 만들어진‘분수’가 땅에서 하늘을 향해 솟구침으로써 중력을 거부하는 힘의 원동력이 돼 문명을 상징해 왔다.
그러나 이제는 자연의 질서에 역행하게 된‘폭포’역시 더 이상 원시의 시원이나 자연의 상징물로 존재하지 못하고 산업자본주의 시대의 주요 문화 상품으로 존재하게 됐음을 상기시키고자 한다.
이처럼 한국적 풍경의 현주소를 포착해 자본주의 시대의 지형과 지리, 물질문명과 소비문화의 실상을 기록한 이 사진들은 시대 현실과 사회 상황에 대한 아카이브 작업임에도 불구하고 다큐멘터리 사진과 예술 사진의 불투명한 경계에 서고자 했다.
원근법을 파괴한 정면성, 주관을 배제한 객관성과 중립성, 대상과의 일정한 거리, 차분한 관찰자의 시선, 중간 톤과 파스텔조의 컬러, 조형적이고 미니멀한 이미지 등의 절제된 어법과 형식 미학을 바탕으로 시적(詩的)이고 서정적인 분위기를 드러내고자 했다.
프로파간다적 문명 비판이나 환경 옹호를 표방하지 않고 리얼리티와 일루전, 이들의 길항과 균형이라는 미학적 시각을 잊지 않고자 했다.
그리하여 삶의 터전으로서의 자연 환경을 문화 소비를 위한 인공 경관으로 변형시켜 놓음으로써 자본주의 시대의 공간 조직 체계와 문화적 가계도를 보여주는 이 사회적 풍경들은 처녀지인 ‘자연(Nature)’에서 경작지인‘문화(Culture)’로의‘땅’의 변형의 역사를 성찰한 지리시학(geopoetics)이 되기를 바란다.
과학과 기술 문명이 생태론적 자연관을 분리하고 해부해 놓은 데 대한 사진적 성찰을 바탕으로 인간중심주의가 주도하는 근대화 프로젝트 아래 파괴되고 훼손되는 자연의 실상 나아가 인간과 공존해야 할 야생의 녹색 환경을 환기시키며 자연의 생명 원리가 문화의 최고 진보 형태임을 보여주기를 바란다./이인행 기자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