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은 연줄공화국인가

새만금일보 | 기사입력 2019/02/11 [21:14]

대한민국은 연줄공화국인가

새만금일보 | 입력 : 2019/02/11 [21:14]

 

대한민국은 여전히 연줄공화국이다. 한국 사회에서 제일 무서운 것은 바로 연줄 문화와 연고 관계다. 연줄은 구직과 취업 이후에도 힘을 발휘한다. 취업 이후에도 유력인사의 자녀로 알려지면 후견인을 자처하는 상사가 나타난다.

출신 학교나 출신지 등을 따져 자신의‘라인’을 만들고 관리하는 임원들도 있다. 재취업에도 패거리 문화는 힘을 발휘한다. 후임자는 퇴직하는 전임자가 공공기관 등 좋은 곳에 재취업할 수 있도록 길을 봐준다. 공기업에서도 고위 공무원 출신이 기관장으로 오면 외풍을 막아줄 수 있다.

중국도 관시(關係·중국 사회 특유의 인맥 문화)를 중시하지만 우리와는 차이가 있다. 중국인들은 직장 동료 등 공들여 획득한‘후천적 인맥’을 중시한다. 반면 한국인은 혈연, 지연 등 타고난 연줄을 중시한다. 일본도 연줄 문화가 있지만 우리보다 조금 앞서 이를 극복했다.

한국 사람들은 연줄 모임에 살고 연줄 모임에 죽는다. 연줄 없이 사업에 성공하거나 출세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패거리 문화는 주로 지연, 혈연, 학연, 관연(官緣) 중심으로 이뤄진다. 한국형 패거리 문화의 특징은 경조사와 접대에 있다. 이 두 가지 지출 비용에는 뇌물성 상납금이 포함된다.

한국 사회 곳곳에는‘연줄 문화의 덫’이 숨어있다. 사회 풍토 자체가 근본적으로 바뀌지 않는 한 연줄 문화는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한국인들은 서로 모르는 사람을 만나면 습관처럼 학연, 지연, 혈연 등 연줄부터 따지기 시작한다.

공무원 사회에서의 연줄의 폐해는 훨씬 심각하다. 인사 청탁은 연줄 문화의 대표격이다. 부정부패와 국가적 재난에 대한 해결책은 자명하다. 지연·학연·혈연 그리고 직장 연고로 전염된 부패 유발 패거리 문화를 척결하는 것이다.

정부 조직 개편 등의 단기 처방으로는 척결이 결코 쉽지 않다. 뿌리 깊은 연줄 문화를 희석시키려면 의식 개혁이 중요하다. 연줄 문화를 청산해야 한다. 툭하면‘빽’을 찾는 패거리 공화국으로는 절대 선진국에 들어갈 수 없다.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오피니언 많이 본 기사